맨위로가기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68년 7월 7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126석(보궐 1석 포함)을 선출했다. 선거권자는 65,886,145명이었으며, 지역구와 비례대표제로 진행되었다. 자유민주당이 69석으로 제1당을 유지했지만 득표율은 감소했고, 연예인 후보들의 대거 출마와 텔레비전을 활용한 선거전이 특징이었다. 선거 결과 사회당 지도부가 교체되었다.

2. 선거 정보

1968년 7월 7일에 실시된 일본 참의원 선거는[1] 자유민주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지만, 1965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감소한 첫 선거였다.

2. 1. 투표일

1968년 7월 7일에 실시되었다.[1]

2. 2. 선거권자

총 유권자는 65,886,145명이었다.[4]

구분인원
남성31,709,561명
여성34,176,584명


2. 3. 공시일

공시일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공시 내용이 확정된 날짜이다.[1] 다만, 법령이나 규칙 등에 공시일을 특정하는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규정에 따른다.[1] 예를 들어, 주주총회 결의 공시는 상법에 따라 주주총회 종료일 또는 결의 확정일이 공시일이 될 수 있다.[1] 공시 대상 및 내용, 공시 방법 등에 따라 공시일의 의미 및 적용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련 법령 및 규정을 참고해야 한다.[1]

2. 4. 개선수

총 126석(보궐 1석 포함, 임기 3년)이다.

  • 지방구: 75석
  • 비례대표: 51석(보궐 1석 포함, 임기 3년)

2. 5. 선거 제도

지역구는 소선거구제중선거구제를 혼합하여 사용했다.[1]

구분내용
소선거구제의석 수 25석
2인 선거구(선출 1명, 단기투표): 25개 선거구
중선거구제의석 수 50석
4인 선거구(선출 2명, 단기투표): 15개 선거구
6인 선거구(선출 3명, 단기투표): 4개 선거구
8인 선거구(선출 4명, 단기투표): 2개 선거구



전국구는 대선거구제를 채택했으며, 의석 수는 51석이었다(그중 1석은 보충을 위해 임기 3년).[1]

비밀 투표, 만 20세 이상 남녀에게 선거권이 주어졌다.[1]

3. 선거 결과

1968년 7월 7일에 실시된 일본 참의원 선거 결과, 자유민주당이 69석을 획득하여 제1당을 유지하였다.[1] 그러나 자유민주당 역사상 처음으로 직전 선거인 1965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감소하였다. 일본 사회당은 28석, 공명당은 13석, 민사당은 7석, 일본 공산당은 4석, 무소속은 5석을 획득하였다.[1]

정당별 의석 (선출+비선출)
정당/무소속선출비선출합계
여당6968137
자유민주당6968137
야당5756113
일본사회당283765
공명당131124
민사당7310
일본공산당437
무소속527
합계126124250



정당별 득표와 의석[5]
정당지역구비례대표의석
합계
득표수비율의석수득표수비율의석수
자유민주당19,405,546align="right" | 4820,120,08946.7%2169
일본사회당12,617,680align="right" | 168,542,199align="right" | 1228
공명당2,632,528align="right" | 46,656,771align="right" | 913
민주사회당3,010,089align="right" | 32,578,581align="right" | 47
일본공산당3,577,179align="right" | 12,146,879align="right" | 34
기타 정당106,587align="right" | 0157,501align="right" | 00
무소속1,910,371align="right" | 32,872,279align="right" | 25
합계43,259,980align="right" | 7543,074,298align="right" | 51126


3. 1. 투표율

전국구 투표율은 68.93%, 지역구 투표율은 68.94%였다.[4]

3. 2. 정당별 득표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인
자유민주당20,120,08946.7%21
일본사회당8,542,19919.8%12
공명당6,656,77115.5%9
민주사회당2,578,5816%4
일본공산당2,146,8795%3
기타157,5010.4%0
무소속2,872,2796.7%2
총합43,074,298100.0%51


3. 3. 주요 정당 및 정치인

야오이타 다다시
야마하나 히데오야마모토 고이치기무라 기하치로이시바시 마사시쓰바키 시게오



|-

| 공명당

|

중앙집행위원장중앙집행부위원장서기장정책심의회장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단장
다케이리 요시카쓰시라키 요시이치로
호조 히로시
와다 사토루
야노 준야스즈키 가즈히로아사이 미유키니노미야 분조



|-

| 민사당

|

중앙집행위원장서기장정책심의회장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회장상임고문
니시무라 에이이치소네 에키가스가 잇코다케모토 마고이치무카이 나가토시가타야마 데쓰
니시오 스에히로



|-

| 일본공산당

|

의장서기장정책위원회 책임자국회대책위원장참의원 의원단장
노사카 산조미야모토 겐지후와 데쓰조하야시 햐쿠로이와마 마사오



|}

4. 선거의 특징 및 영향

1968년 7월 7일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일본 정치사에 있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특징과 영향을 남겼다.[1]

이 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최다 의석을 확보했으나, 1965년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감소한 첫 참의원 선거였다.[1] 이는 유권자들의 민심 변화와 자민당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일본사회당은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1968년 10월 집행부를 전면 교체했다. 나리타 도모미가 새 중앙집행위원장으로, 에다 사부로가 서기장으로 각각 선출되었다.

4. 1. 연예인 후보 돌풍

1962년 중의원 의원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연예인 후보들이 대거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시하라 신타로, 아오시마 유키오, 요코야마 녹쿠 등 신인 연예인 후보 5명의 득표수는 670만 표를 넘었다. 특히 이시하라 신타로는 301만 표를 돌파했으며, 아오시마 유키오도 120만 표가 넘는 득표를 얻어 전국구 1, 2위를 차지했다.[3] 이러한 결과는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새로운 변화에 대한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예인 출신 당선자 (득표순)
순위이름소속 정당
1이시하라 신타로자유민주당
2아오시마 유키오무소속
25요코야마 녹쿠무소속


4. 2. 텔레비전 선거전 본격화

인지도가 높은 연예인 후보가 다수 출마하여 당선된 것 외에, 텔레비전을 이용한 선거전이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이 특징이다. 정당의 텔레비전 광고(CM)가 다수 방영되었고, 텔레비전을 통한 정당 토론회가 종래보다 증가했으며, 유세 연설회 중계도 29개 현의 지역구에서 실시되었다. 또 민영방송인 매일방송에서는 후보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유권자의 판단 자료로서 「킨키(近畿)의 얼굴」에서 방송했다. 그리고 개표 속보에서 NHK와 TBS, 후지텔레비 3개국이 컴퓨터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3]

4. 3. 자민당 득표율 감소와 야당 약진

자유민주당은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지만, 1965년 일본 참의원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감소한 첫 참의원 선거였다.[1]

4. 4. 사회당의 지도부 교체

일본사회당은 선거 패배의 책임을 물어 1968년 10월에 집행부를 전면 교체했다. 그 결과 새 중앙집행위원장에는 나리타 도모미가, 서기장에는 에다 사부로가 선출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1968년은 박정희 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하에 있었고, 일본과의 관계는 여전히 복잡한 문제들을 안고 있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 이후에도 과거사 문제, 경제 협력, 재일교포 문제 등 여러 현안을 둘러싸고 미묘한 긴장 관계가 지속되었다. 이 시기 일본의 정치는 한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는데, 특히 일본 내 정당들의 정책 방향과 권력 관계 변화는 한국의 대일 외교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1968년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결과는 자유민주당의 장기 집권에 대한 견제 심리가 작용했음을 보여주며, 이는 한일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였다.[1]

참조

[1] 웹아카이브 Table 13: Persons Elected and Votes Polled by Political Parties -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2011-03-23
[2] 웹사이트 27-11 Allotted Number, Candidates, Eligible Voters as of Election Day, Voters and Voting Percentages of Ordinary Elections for the House of Councillors (1947-2004) http://www.stat.go.j[...]
[3] 서적 昭和テレビ史(下) 早川書房
[4] XLS링크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定数,立候補者数,選挙当日有権者数,投票者数及び投票率(昭和22年 - 平成16年) http://www.stat.go.j[...]
[5] XLS링크 参議院議員通常選挙の党派別当選者数及び得票率(昭和22年 - 平成16年) http://www.stat.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